본문 바로가기

Edu/01. Language: Python19

논리합(or), 논리곱(and) 1. 논리합(or) 양쪽 값 중 하나만 True라면 True 리턴 opperator return False or False False False or True True True or True True 2. 논리곱(and) 양쪽 값 모두 True인 경우만 True 리턴 opperator return False and False False Fasle and True False True and True True 2021. 8. 25.
map()함수: iteral 자료형 형변환 * 학습내용 - map 함수란? - map함수 사용법 1. map()함수란: map() : 리스트 요소를 지정된 함수로 처리해주는 함수 2. map()함수 사용법 - list(map(함수, 리스트)) - tuple(map(함수, 리스트)) map()함수를 쓰지 않은 경우 >>> a = [1.2, 2.5, 3.7, 4.6] >>> for i in range(len(a)): ... a[i] = int(a[i]) ... >>> a [1, 2, 3, 4] 1) map()함수를 쓴 경우-> for문을 썼을 때보다 코드가 훨씬 간결 >>> a = [1.2, 2.5, 3.7, 4.6] >>> a = list(map(int, a)) >>> a [1, 2, 3, 4] 2) 두번째 인자 자리에 반복 가능한 객체를 넣을 수.. 2021. 8. 23.
소스코드재사용: 함수, 클래스, 모듈, 패키지 * 학습 내용 - 함수 - 클래스 - 모듈 - 패키지 0. Intro 함수, 클래스, 모듈, 패키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소스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동일한 소스코드를 반복해서 적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불필요한 노동을 줄이기 위해 함수, 클래스, 모듈, 패키지를 이용하여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면 효율적인 코드 작성이 가능하다. 1. 함수(def) 동작을 정의한 소스코드 def 함수이름(): 재사용할 소스 코드 블럭 def 함수이름(인수): 재사용할 소스 코드 블럭 cf) 우리가 정의한 함수 안에서 쓸 수 있는 인수를 매개변수(parameter)라고 부름 def 함수이름(인수): 재사용할 소스 코드 블럭 return 반환값 2. 클래스(class) class 클래스이름(): 재사용할 소스 코드 블럭(속성, 메.. 2021. 5. 30.
세트/딕셔너리 * 학습 내용 - set - dictionary 1. 세트(set) - 데이터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는 데이터 집합을 위한 데이터 타입 변수 = {항목1, 항목2, 항목3, ...} 1) 빈 세트 만들기 변수명 = set{} 튜플과 리스트와 달리 괄호 기호를 사용해서 만들 수 없음 2) 세트 항목 추가 : add() 세트명.add('항목') 3) 세트 항목 존재 유무 확인 : in 키워드 '찾고자하는항목' in 세트명 4) 세트 항목 제거 : remove() 세트명.remove('지우고자하는항목명') 5) 세트 항목 폐기 : discard() 세트명.discard('지우고자하는항목명') remove()는 세트 내에 지우고지 하는 항목이 없으면 KeyError를 발생시키지만, discard()는 .. 2021. 5. 30.
튜플vs리스트 * 학습 내용 - tuple: ( ) - list: [ ] 1. 튜플: ( )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 타입으로 이루어진 항목들을 변수에 바로 풀어서 할당하거나 색인을 매기는 용도 값이 변경되지 않음 1) 패킹(packing) 여러 개(여러 타입)의 데이터를 하나의 튜플에 할당하는 것 ex) book = '어린왕자', 2000, True 2) 언패킹(unpacking) 항목별로 각각 풀어서 변수에 저장하는 개념(왼쪽값을 오른쪽에 할당) ex) name, pulish_year, pages, publisher = book 2. 리스트: [ ] 동일한 자료 타입으로 이루어진 항목들을 리스트 내에서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가공하는 용도 튜플과 달리 값 변경 가능 1) 리스트 끝에 값 추가: append() 리스트.. 2021. 5. 28.
반복문 * 학습 내용 - while 문 - for 문 1. 반복문의 유형 1) 특정 조건 만족할 때까지 반복: while문 2) 특정 횟수까지 반복: for문 2. while문 while 조건문: 조건문이 참일 때 실행하는 소스코드 블럭 조건문이 참이라면, 그 다음줄의 소스 코드 블럭이 계속 반복 실행. 1) continue 문 처음으로 되돌아가는 문 2) break 문 반목문을 탈출하는 문 3. for 문 for 변수 in 데이터(나열식): 반복할 소스 코드 블록 원하는 횟수나 정해진 범위만큼 반복하는 함수 1) continue 문 처음으로 되돌아가는 문 2) break 문 반목문을 탈출하는 문 2021. 5. 28.
함수/변수 * 학습 내용 - 함수 개념 - 변수 의미 1. 함수 개념 y = f(x) 함수 f는 변수 x를 인수로 받아서 값을 반환(return)하며, 이 반환값(return value)을 변수 y에 대입한다. 즉 함수는 인수를 받아서 미리 약속한 작업을 수행한 뒤 값을 반환해주는 장치이다. 이런 함수는 경우에 따라서 인수나 반환값이 없거나, 여러개 있을 수도 있다. 2. 변수 의미 파이썬에서 변수는 '변수명 = 값' 꼴로 값을 변수명에 할당(대입)한다. 값이 변수에 할당되면 앞으로 해당 값을 호출할 때 변수 이름만 알면 된다. 즉 데이터를 쉽게 찾아주는 것이 변수의 주요 역할이다. 또 변수는 서로 다른 함수간에 값을 전달하는 용도도 가지고 있다. 3. 정리 - 함수: 인수를 받아 약속된 작업을 수행한 후 값을 반.. 2021.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