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환경에서 프로그래밍 입문 시 jdk나 python 같은 프로그래밍 툴들을 설치 후 기존에 열어뒀던 cmd(Command Prompt) 창을 닫고 재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설치한 프로그래밍 툴들이 시스템 환경 변수에 등록되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는데, 프로그래밍 툴들을 설치하면서 변경된 시스템 변수 변경사항을 기존에 열어둔 cmd 창에서 인식을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존 cmd창을 닫고 다시 열면 시스템 변수에 새로 추가된 프로그래밍 툴들을 인식하고 제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시스템 환경 변수에 들어가면(들어가는 방법은 윈도우키 + "path"만 입력해도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이 뜬다. 고급 탭> "환경변수" 버튼 클) 시스템 변수와 사용자 변수가 있는데 둘의 차이는 특정 컴퓨터 사용자에 따라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사용자 상관없이 전체 동일하게 적용할 것인지 차이이다.
그 외에 chatgpt에 물어본 결과 둘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
1) 시스템 변수:
-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주는 변수입니다.
- 모든 사용자 및 프로세스에 적용됩니다.
- 시스템 변수는 컴퓨터의 모든 부분에서 사용됩니다.
- 주로 시스템의 기본적인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합니다. (예: 시스템 경로, 시스템 폰트, 기본 프로그램 등)
관리 권한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며, 변경할 경우 컴퓨터 전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2) 사용자 변수:
- 특정 사용자에게만 적용되는 변수입니다.
- 로그인한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주로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이나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합니다. (예: 사용자가 설치한 프로그램의 경로, 임시 작업 폴더 등)
- 사용자가 직접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IT study > 99. etc: IT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d(Command Prompt)란? (0) | 2023.11.22 |
---|---|
빅데이터 플랫폼 아키텍처의 미래 (0) | 2023.11.15 |
컴퓨팅 및 데이터 처리 환경: 엣지,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0) | 2023.08.18 |
iso (0) | 2022.05.24 |
데이터 사일로(Data silo) (0) | 2022.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