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룰 때는 종종 리스트를 사용한다. 그러나 리스트는 데이터 정보를 따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시점이 넘어가면 리스트로 데이터 관리하기 힘들다. 이때 딕셔너리를 사용하면 해당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 즉 딕셔너리는 데이터에 이름표(key)를 붙여 관리하는 방법이다.
# 리스트로 데이터 관리(중첩 리스트)
# 리스트로 만든 드링킹 요구르트 판매량
yo_qty_2020 = [
[15, 16, 20, 29],
[8, 11, 25, 21],
[17, 9, 17, 24]
]
# 딕셔너리로 데이터 관리
# 딕셔너리로 만든 드링킹 요구르트 판매량
yo_qty_2020 = {
"2020년_1월" : [15, 16, 20, 29],
"2020년_2월" : [8, 11, 25, 21],
"2020년_3월" : [17, 9, 17, 24]
}
- 딕셔너리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서 오브젝트(object), 해시 맵(hash map)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기능도 조금씩 다르지만 데이터에 이름표(key)를 붙여서 관리한다는 측면에서는 동일하다.
-리스트와 딕셔너리는 비슷한 점이 많기 때문에 서로 쉽게 변환이 가능하다. 둘 중 하나를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 리스트를 먼저 사용해보고 필요에 따라서 딕셔너리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가 매우 많다면 리스트가 효율적이고, 데이터의 종류가 여러 개라면 딕셔너리가 효율적일 것이다.
* 정리
- 리스트는 인덱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
- 딕셔너리는 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
'Edu > 01. Language: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자열 함수 (0) | 2021.09.18 |
---|---|
코딩에서 중요한 4가지 개념 (0) | 2021.09.13 |
논리합(or), 논리곱(and) (0) | 2021.08.25 |
map()함수: iteral 자료형 형변환 (0) | 2021.08.23 |
소스코드재사용: 함수, 클래스, 모듈, 패키지 (0) | 2021.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