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내용
- HEAD 개념
- git reset
1. HEAD 의미
헤드는 어떤 커밋 하나를 가리키는데 보통 가장 최근에 한 커밋을 가리킨다.
헤드가 가리키는 커밋에 따라 working directory가 구성됨.
만약 헤드가 이전 커밋을 가리키면 이전 커밋의 working directory에 따라 구성되어 내용들이 바뀜.
헤드를 바꾸고 난 후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을 읽으면 그때 당시의 파일 내용이 불러와짐
일종의 커밋의 타임머신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다.
2. git reset
특정 시점 이후의 커밋들을 싹 다 날리고 다시 커밋하고 싶을 때.
과거 커밋으로 아예 돌아가고 싶을 때.
특정 커밋 이후의 커밋들이 마음에 안들어 다시 시작하고 싶을 때
git reset --hard 가고싶은커밋의아이디4자리
reset: 초기화하다
3. git reset의 옵션: --hard, --mixed, --soft
4. git add 이후 staging area 상황
git add 이후 staging area 가 초기화되거나 하지 않음.
새로운 파일이 추가되거나 원래 있던 파일이 새로운 버전으로 교체됨.
'Edu > 02. Git_N_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ash에서 한글명 표기가 숫자로 나타날 때 (2) | 2024.01.14 |
---|---|
커밋 실수 구원 커맨드 (0) | 2021.09.08 |
두 커밋 간의 차이 보기 (0) | 2021.07.18 |
git 명령어 alias 사용하기 (0) | 2021.07.18 |
커밋 메세지 작성 가이드 라인 (0) | 2021.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