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내용
- postman으로 elasticsearch 접근하여 데이터 CRUD
이전에 작성한 포스트 글에서는 엘라스틱서치를 실행하고 키바나를 실행하여 커맨드 창에서 CRUD가 작업가능하다고 했었다. 이번 포스팅에는 키바나 대신 postman을 활용하여 엘라스틱서치에 접근해서 데이터를 CRUD하는 작업을 하려고 한다.
엘라스틱 서치의 주소는 http://localhost:9200,
키바나의 주소는 http://localhost:5601 이다.
이 중 postman으로 엘라스틱 서치에 접근하려고 하니 http://localhost:9200 + elastic search query(?)를 postman에 작성하면 된다. 참고로 postman으로 CRUD하기 전 반드시 elasticsearch를 실행시킨 상태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류가 난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1. POST: 데이터 생성
아래는 post로 데이터를 생성한 화면이다.

① 데이터 생성을 위해 POST로 선택
② http://127.0.0.1:9200/hello_index/_doc/2 입력
③ 생성할 데이터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 body 클릭
④ raw 클릭
⑤ json 포맷이므로 json 형식으로 선택
⑥ 생성할 데이터 입력
⑦ send 버튼 누른 후 나온 출력 결과물
2. GET :데이터 조회
아래는 postman으로 생성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장면이다.
위와 비슷하여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고 삽화로 설명을 대신한다.

지금 하는 작업이 생성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작업이므로,
POST 대신 GET으로 설정, body 부분에는 입력할 데이터가 없으므로 none으로 설정한 후 send 버튼을 누르면
위 그림과 같이 데이터가 조회된다.
이외의 PUT, DELETE도 위의 두 작업과 유사하므로 굳이 포스팅하지 않고 이쯤에서 정리한다.
'Edu > 04. Elastic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라스틱 스택 pipeline 구축 및 Dashboard 생성 (0) | 2021.07.16 |
---|---|
구글 플러그인인 elasticsearch Head 사용하여 데이터 CRUD (0) | 2021.07.15 |
엘라스틱 서치란? (0) | 2021.07.15 |
엘라스틱 서치 & 키바나 설치 (0) | 202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