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내용
- set
- dictionary
1. 세트(set)
- 데이터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는 데이터 집합을 위한 데이터 타입
변수 = {항목1, 항목2, 항목3, ...}
1) 빈 세트 만들기
변수명 = set{}
튜플과 리스트와 달리 괄호 기호를 사용해서 만들 수 없음
2) 세트 항목 추가 : add()
세트명.add('항목')
3) 세트 항목 존재 유무 확인 : in 키워드
'찾고자하는항목' in 세트명
4) 세트 항목 제거 : remove()
세트명.remove('지우고자하는항목명')
5) 세트 항목 폐기 : discard()
세트명.discard('지우고자하는항목명')
remove()는 세트 내에 지우고지 하는 항목이 없으면 KeyError를 발생시키지만,
discard()는 세트 내에 지우고자 하는 항목이 없어도 KeyError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6) 세트 내 임의 항목 추출 : pop()
세트명.pop()
세트 내 항목 중 하나를 임의로 추출.
따라서 pop()함수에 인자값을 집어넣으면 TypeError에러 발생
7) 세트 내 모든 항목 제거 : clear()
세트명.clear()
8) 집합 연산
# 차집합
A - B
# 합집합
A | B
# 교집합
A & B
# 여집합 : A와 B의 여집합 = 합집합 - 교집합
A ^ B
2. 딕셔너리(dictionary)
전체 항목이 정렬되지 않는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구성된 데이터 모음
변수 = {키1 : 값1, 키2 : 값2, 키3, 값3}
1) 딕셔너리 항목 개수 확인: len()
len(딕셔너리명)
2) 딕셔너리 값 변경
딕셔너리명[딕셔너리키] = 변경하고자하는값
3) 딕셔너리 키와 값 추가
딕셔너리명[추가하고자하는딕셔너리키] = 추가하고자하는값
4) 딕셔너리 키와 값 확인 : keys(), values()
# 키 확인
딕셔너리명.keys()
# 값 확인
딕셔너리명.values()
5) 딕셔너리 항목 존재 유무: in 키워드
확인하고자하는키 in 딕셔너리명
확인하고자하는키 not in 딕셔너리명
6) 딕셔너리 특정 항목 삭제 : del
del 딕셔너리명(키)
7) 딕셔너리 전체 항목 삭제 : cleaer()
딕셔너리명.clear()
8) 튜플 데이터를 딕셔너리 타입으로 변환 :dict()
dict( [ (키1, 값1), (키2, 값2), (키3, 값3) ] )
dict()함수는 튜플 데이터를 dict 타입으로 변환할 때,
튜플이 dict 타입보다 데이터 처리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처리 수행 시간을 줄이기 위해 튜플로 처리 후 dict로 변환하여 데이터 조회할 때 쓰임.
9) 데이터 정렬: sorted()
# 키를 오름차순 정렬 후 리스트로 반환
sorted(딕셔너리명)
# 키를 내림차순 정렬 후 리스트로 반환
sorted(딕셔너리명, reverse=True)
sorted()는 원본 훼손하지 않음
'Edu > 01. Language: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p()함수: iteral 자료형 형변환 (0) | 2021.08.23 |
---|---|
소스코드재사용: 함수, 클래스, 모듈, 패키지 (0) | 2021.05.30 |
튜플vs리스트 (0) | 2021.05.28 |
반복문 (0) | 2021.05.28 |
함수/변수 (0) | 2021.05.28 |